가계도

육연(六然)
| 자처초연(自處超然) | 혼자 있을 때에는 초연하게 하라 |
| 대인애연(對人藹然) | 남을 대할 때에는 넉넉하게 하라 |
| 유사감연(有事敢然) | 나라에 일이 있으면 용감하게 행동하라 |
| 무사징연(無事澄然) | 나라에 일이 없으면 의연하게 행동하라 |
| 득의담연(得意淡然) | 뜻을 이루더라도 담담하게 하라 |
| 실의태연(失意泰然) | 뜻을 이루지 못하더라도 태연하게 하라 |
육훈(六訓)
|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 벼슬 하지 마라 | |
| 만석 이상의 재산은 사회에 환원하라 | |
| 흉년기에는 땅을 늘리지 말라 | |
|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| |
| 주변 100리 안에 굶는 사람이 없도록 하라 | |
| 시집온 며느리들은 3년간 무명옷을 입어라 |
가거십훈(家居十訓)
| 명인륜(明人倫) | 인륜을 밝혀라 |
| 사친효(事親孝) | 부모에게 효도하라 |
| 애군충(愛君忠) | 임금에게 충성하라 |
| 의실가(宜室家) | 가정을 화목하게 하라 |
| 우형제(友兄弟) | 형제와 우애 있게 지내라 |
| 신붕우(信朋友) | 친구는 믿음으로 사귀어라 |
| 원여색(遠女色) | 여색을 멀리하라 |
| 계후주(戒酗酒) | 술주정을 경계하라 |
| 과농상(課農桑) | 농업과 잠업을 장려하라 |
| 강경학(講經學) | 경학을 연구하라 |
경주최부자댁 정신의 현대적 가치
| 혁신 | 농사 방법을 직파법에서 이앙법(모내기법)으로 바꿈으로써 농업 생산력을 높이고 부의 원천으로 만들었다. |
|---|---|
| 상생 | 17C 중반부터 마름의 횡포를 없애고, 소작료를 반반으로 하여 소작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관계를 만들었다. |
| 나눔 | 흉년이 되면 활인당에서 죽을 쑤어 굶주린 백성을 구하고, 가난한 이웃을 위해 곳간을 열어 곡식을 나누었다. |
| 애국 | 국채보상운동, 의병활동 지원, 상해 임시정부 자금 지원 등 다양한 방법으로 대한독립을 위해 모든 재산을 바쳤다. |
